정부는 3. 21(월) 오후 김황식 국무총리 주재로 제7차 첨단의료복합단지위원회를 개최하여 『첨단의료복합단지 종합계획』을 확정하였다.
이날 위원회에서는 올해부터 ’13년까지 3년간 1.1조원을 투입하여 신약개발지원센터 등 핵심인프라 구축, 우수한 연구기관(56개) 및 인력 유치, 공동 연구개발체계 구축, 연구개발 환경 조성을 중점적으로 추진키로 하였다.
① (핵심인프라 구축) 첨단의료복합단지는 2013년 완공을 목표로 총면적 216만㎡(대구경북 103만㎡, 충북 오송 113만㎡)에 기초연구성과를 임상단계로 연계할 응용ㆍ개발연구 중심의 단지로 조성할 예정이다.
중앙정부는 신약, 의료기기 개발에 필수적이지만 민간에서 구비하기 힘든 핵심시설*과 장비를 설치,
※ 핵심시설 : 신약개발지원센터, 첨단의료기기개발지원센터, 실험동물센터, 임상시험신약생산센터
지방자치단체는 부지 제공 및 커뮤니케이션, 벤처연구센터 등 각종 편의시설*을 건립하는 등 공동으로 단지를 조성할 계획이다.
※ 대구경북(연면적 17,600㎡, 1,500여명 수용), 충북오송(연면적 54,186㎡, 2,000여명 수용)
② (우수 연구인력(기관) 유치) 세계적으로 우수한 인재를 유치하기 위해 인재유치위원회를 구성하고, ‘13년까지 연구인력은 600명 수준을 충원한다.
또한 우수 연구기관 유치를 위해(‘13년까지 56개목표) 취득세 등 각종 세금 감면, 부지매입비 지원, 연구개발 기금 조성, 성공불 융자제도 도입 추진 등 다양한 인센티브를 제공한다.
③ (공동 연구개발체계 구축) 대학ㆍ기업ㆍ연구소 등과 공동연구개발이 활성화되도록 단지 내에 ‘연구개발 전담기구’를 설치한다. 또한, R&D는 ‘13년까지 1,100억원을 투자하며, 연구개발 결과를 상용화할 수 있도록 허가와 연계한 원스톱 서비스(One stop service)를 제공할 계획이다.
④ (연구개발 환경 조성) 연구개발성과가 조기에 도출될 수 있도록 하기 위해 인허가 절차 간소화, 외부 연구기관ㆍ전문가 간 협력체계 구축 등을 추진할 예정이다.
한편 김 총리는 이날 회의에서 “우리나라가 선진국으로 진입하기 위해서는 신약 및 첨단의료기기와 같은 고부가가치 산업을 미래의 신성장 동력으로 육성하는 것이 절실하다.”며 “이를 위해 관련기관과 연구진들이 합심해서 첨단의료복합단지를 세계 최고의 단지로 만들어 나가자.”고 강조하였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