대통령기록관 홈페이지로 이동합니다
처음으로
 
  지역위소개   지역위 소식   정책안내   자료실   영문 페이지  
보도자료
공식 보도자료를 전해드립니다.
제목 [설명자료] 지역의 인적자원 역량 강화 속도 늦고, 지역 경제 상황에 우수인력 유출 민감..
작성일 2011-04-25 조회수 1,863
첨부파일 지역 인재-11.4.25.hwp
이전 글 [설명자료] 도시근로자 가구소득 대비 농가소득과 친환경농산물 출하량
다음 글 [설명자료] 100대 기업 및 지방이전 기업 입지 편향 여전

□ 비수도권의 경제활동인구(이하 경활인구) 내 대졸자 비중은 2000년 20.9%에서 2010년 34.2%로 증가세 유지, 연평균 1.3%p 증가

○ 수도권의 경활인구 내 대졸자 비중은 ‘00년(28.8%) → '10년(43.5%)로 연평균 1.5%p 증가

   - 2010년 현재, 수도권의 경활인구 내 대졸자 비중이 비수도권에 비해 9.3%p 큰 것으로 시현
     * ‘00년 수도권과 비수도권 간 대졸자 비중 차이는 8.0%p로 지역 간 격차 확대

   - 비수도권의 수도권 대비 경활인구 내 대졸자 비중은 ‘00년(0.72) → ’06년(0.81)까지 증가세를 유지하였으나, 2006년 최고치 기록 후 약보합세 유지(‘10년(0.79))

 <경제활동인구 내 대졸자 비중>

   - 2010년 현재, 광역권 중 경활인구 내 대졸자 비중이 가장 높은 지역은 제주권(36.7%), 동남권(35.7%), 충청권(34.7%) 순으로 시현
     * 강원권(29.2%) 내 경활인구 내 대졸자 비중이 가장 낮은 것으로 조사

○ 비수도권 중 강원권의 경활인구 내 대졸자 비중 증가폭은 ‘00년(17.8%) → ’10년(29.2%)으로 광역권 중 최소, 제주권 11.7%p, 대경권 12.2%p 순으로 시현
    * 제주권 ‘00년(25.0%) → ’10년(36.7%), 대경권 ‘00년(21.5%) → ’10년(33.7%)

   - 충청권은 ‘00년(20.0%) → ’10년(34.7%)으로 광역권 중 최대
     * 수도권 증가폭과 동일

○ 2000년대 초반(‘00년~’05년) 동남권과 충청권의 경활인구 내 대졸자 비중이 크게 확대 되었으나, 후반(‘06년~’10년)에는 증가폭이 축소
 
               <경제활동인구 내 대졸자 비중 평균 변화>                  <경제활동인구 내 대졸자 비중>


출처: 통계청, 경제활동인구조사

☐ 2008년 비수도권 소재 4년제 대학 졸업자가 수도권으로 취업한 비중은 세계금융위기 등으로 인한 경기침체 영향으로 27.3% 기록, 전년 대비 1.3%p 증가

○ 2008년 자료 수집 시기인 2009년의 수도권 내 경활인구 내 대졸자 비중은 전년 대비 2.0%p로 크게 증가
    * ‘08년(1.7%p), '09년(2.0%p), '10년(0.7%p)

   - 2009년 비수도권 소재 대학 졸업자가 수도권으로 취업한 비중(25.5%)은 경제위기 조기 극복으로 인한 경기 활성화에 힘입어 전년 대비 1.8%p 감소
     * 수도권 소재 대학 졸업자 중 비수도권에 취업한 비중(5.9%)은 전년 대비 0.9%p 증가한 것으로 조사

○ 충청 및 강원권 소재 대학 졸업자의 경우, 과반수 이상이 수도권으로 취업
   * 충청권(‘04년(57.3%)→’09년(52.5%)), 강원권(‘04년(60.2%)→’09년(55.4%))

   - 수도권과 지리적으로 먼 광역권* 소재 대학 졸업자들의 수도권 내 취업은 비교적 적은 것으로 파악
     * 호남권(23.8%), 대경권(20.7%), 제주권(17.5%), 동남권(14.0%) 등(2009년)

   - 특히 동남권 소재 대학 졸업자들의 수도권 취업 비율은 2008년(16.0%), 2009년(14.0%)에 걸쳐 광역권 중 가장 낮은 것으로 조사

                           <대학소재지와 취업지역>                  <비수도권 소재지 대학 졸업자 중 수도권 취업 비중>  

 

출처: 교육통계서비스, 취업통계

목록
간행물
뉴스레터
포토영상
통계로 보는 내고장
 
 
청와대녹색성장위원회국가경쟁력강화위원회미래기획위원회국가건축정책위원회국토연구원한국농촌경제연구원한국지방행정연구원산업연구원공감코리아
 
  개인정보 보호정책 저작권 보호정책