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예천군의 꿀벌육종연구센터는 국내 환경에 적합한 우수 꿀벌 개발과 보급을 위해 2009년 설립됐다. |
이런 예천군의 산업곤충 연구사업이 더욱 탄력을 받고 있다. 작년에 ‘곤충산업 육성 및 지원에 관한 법률’이 시행된 데 이어 ‘꿀벌 우수 종봉 선발 사업’이 창조지역사업에 선정됨으로써 국가의 지원이 확대된 것이다. 예천군은 2012년까지 창조지역사업비 12억원(국비 10억원, 지방비 2억원)으로 상리면에 있는 예천곤충연구소 일대에 꿀의 원료가 되는 밀원숲과 격리 육종장 등을 조성하고, 질병에 강하고 로열젤리 등 봉산물(벌이 생산하는 산물)이 뛰어난 새로운 우량 종봉 2~3계통을 개발한다는 방침이다.
1~2년 내 우수 품종 개발로 연 1백억원 소득
예천군 곤충연구소 꿀벌육종 연구담당 권천락 연구원은 “국내의 꿀벌은 오랫동안 잡종화되면서 꿀과 봉산물 생산능력이 많이 퇴화하였고, 기후 온난화로 양봉산업이 급격히 쇠퇴해 왔다”며 “믿을 만한 품종의 벌을 보급하는 기관이 필요하다는 양봉농가의 요구가 높았다”고 말했다.
우리나라에 양봉(서양벌)이 보급된 지 1백년이 넘었지만, 그동안 제대로 된 종봉연구소나, 양봉 보급 기관이 없었다. 2007년 예천군은 양봉 선진국인 중국의 양봉기술을 도입하기 위해 중국 지린성의 양봉과학연구소와 공동 연구협약을 맺었다. 이런 노력의 연장선에서 2009년에는 국내 환경에 적합한 우수한 꿀벌을 개발하기 위해 꿀벌육종연구센터가 건립될 수 있었다.
권 연구원은 “1~2년 내 우수 품종을 개발, 전국 3만3천여 양봉 농가에 공급해 연간 1백억원의 농가소득을 올리고 한국 양봉산업의 발전에 도움을 줄 계획”이라고 했다. 꿀벌육종센터는 2014년까지 1만 수의 여왕벌을 농가에 보급할 예정이다.
![]() |
출처: 위클리공감 | 등록일 : 2011.07.0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