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한국의 사회동향 2010'은 우리 사회의 주요 변화상황을 설명해주고, 지표통계 자료를 활용하여 우리사회의 주요 변화양상을 비교·제시하였음.
- 인구, 가족과 가구, 교육, 노동, 소득과 소비, 문화와 여가, 주거와 교통, 보건, 사회안전, 사회통합의 총 10개 부문으로 구성되어 있음.
- '한국의 사회동향 2010'의 주요 내용을 살펴보면, 근 국제결혼의 증가로 결혼하는 10쌍 중 1쌍 이상이 국제결혼부부임.
- 여성취업의 장애요인 중 사회적 요인은 감소한 반면, 육아부담은 1998년 29.3%에서 2009년 47.6%로 증가하였음.
- 외국인 단순인력은 지속적으로 증가하여 2009년 51만 명에 이름.
- 우리나라 국민의 소득만족도를 결정짓는 경계점은 월소득 300~399만원임.
- 희망하는 여가활동으로는 여행과 자기개발의 비율이 높으나, 현실에서는 주로 TV시청, 휴식, 가사로 여가시간을 보냄.
- 우리나라 국민 6명 중 1명은 매년 거주지를 이동하며, 거주지 이동의 주된 요인은 평수확장과 내 집 마련임.
- 지난 10여 년간 아동 성폭력 신고건수는 1.7배 증가하였음.
- 개인단위의 기부행위는 증가 추세이며, 소득수준이 높을수록 기부에 보다 적극적인 것으로 나타났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