ㅇ 세계 각국은 급변하는 글로벌 경쟁에 대응하기 위하여 개인·집단의 창조성과 아이디어에 기반을 둔 문화·창조산업(Cultural and Creative Industries: CCIs)을 적극 육성하고 있음. 문화·창조산업 정책은 지속가능한 지역발전에 기여하는 새로운 성장동력이 될 것으로 기대
ㅇ 2010년 7월 EU 집행위(European Commission)는 기존의 쇠퇴하는 산업을 대체하기 위하여 문화산업과 창조산업에 대한 새로운 정책방향인 ‘문화창조산업 잠재력 열기(Unlocking the Potential of Cultural and Creative Industries)’를 제시하였음
ㅇ EU의 녹서(Green Paper)에서는
1. 실험·혁신·기업가 역량을 증진시킬 조력자를 적재에 배치,
2. 문화·창조산업(CCIs)이 세계적으로 성공할 수 있도록 지역단위 환경개선
3. 문화·창조산업(CCIs)의 확산효과(spillover)를 통한 창조경제(creative economy) 전환 등 다양한 전략을 제시
ㅇ 우리나라도 새로운 지역성장 동력으로서 문화·창조산업(CCIs)을 적극 육성하기 위해 다음과 같은 전략을 검토할 필요가 있음
- 지역별로 특색 있는 문화·창조산업(CCIs)을 새로운 지역 성장동력으로 육성
- 창조적 인재유치를 위한 새로운 창조공간을 조성 및 지원
- 중앙정부-지자체 간 상호 협력적 문화·창조산업(CCIs) 육성정책 추진
- 지역의 지속적인 경제발전을 위한 창조적 파트너십(creative partnership) 구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