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대학은 교육 및 연구와 더불어 제3의 책무로서 지역경제 발전에 더욱 적극적으로 개입해야함
- 중세대학은 지역사회와 괴리되어 교육만 담당했으나, 19세기 후반에 베를린의 Humboldt대학에서 과학적 연구를 하기 시작한 이후 거의 모든 대학에서 교육과 연구를 병행하게 됨
- 경제구조가 대량생산체제에서 포스트 산업화, 지식기반, 개방화 및 기술혁신이 주요한 성장 동력이 되는 패러다임으로 변하면서, 1970년대부터 미국의 대학에서는 학문 사이의 융합연구하기 시작했고 산업계와 지역사회의 발전에 적극 개입하게 됨
- 삼중나선(Triple Helix)이론은 대학의 사회 및 경제적 역할을 강조하면서 대학이 보유한 지식의 사업화를 위해 기업과 직접적으로 연계할 것을 주장하고 있음
○ 융합기술 및 급진적 기술혁신의 중요성 증대와 더불어 과학과 기술의 영역 구분이 희미해졌고, 과학적 돌파가 곧바로 제품으로 연계되는 사례가 나타나면서 대학이 보유한 연구역량의 중요성이 커지고 있음
- DNA, MRI, 컴퓨터, 레이저 등의 제품은 기업이 아닌 대학에서 창조하였음.
최근 IT, 바이오, 나노 등의 분야에서는 대학에서 창출한 지식이 사업화로 연결되고 세계적 기업이 탄생하고 있음
- 기업은 하나의 분야에 집중하고 있기 때문에 기술의 융합화에 제대로 대응하지 못하고 있지만 대학은 여러 학문이 존재하여 융합이 자연스럽게 이루어질 수 있음. 융합지식의 중요성이 커질수록 지식의 원천으로서 대학은 역할은 점차적으로 커질 것임
○ 기술패러다임 변화로 대학과 기업의 협력은 증대하고 있지만 서로 협력 동기가 다르기 때문에 여러 가지 장애물이 존재하여 이를 제거하는 것이 중요함
- 대학은 기업이 가지고 있는 생산기술에 접근하거나, 프로토타입을 얻거나, 연구자금을 획득하기 위해 기업과 협력하기를 원하고 있음. 특히 연구자금을 확보하여 좀 더 나은 환경에서 연구를 지속하기를 바라고 있음
- 기업은 대학이 가진 새로운 지식, 아이디어 및 기술에 접근하기 위해 대학과 협력하기를 원함
- 대학과 기업은 조직의 목적과 문화가 다르기 때문에 협력하는 것이 쉽지 않고 성과도 높지 않음
- 협력에서 발생하는 장애물을 없애는 가장 중요한 요인은 신뢰임. 서로 신뢰하면 협력성과가 높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