대통령기록관 홈페이지로 이동합니다
처음으로
 
  지역위소개   지역위 소식   정책안내   자료실   영문 페이지  
지역소식
지역의 각종 소식을 전해드립니다.
제목 전국 7개 광역 경제권 상생협력과 공동발전 위해 한 자리
작성일 2012-11-19 조회수 1,208
첨부파일 첨부된 파일이 없습니다
이전 글 [경북농업 희망을 심는다] 뿌리깊은 농업유산, 문화산업으로 되살아나다
다음 글 충북 기업-대학 "청년일자리 창출" 대규모 협약 체결

5+2 광역경제발전위원회는 19일 대한상광회의소 위원회의실에서 ‘지역간 상생협력과 공동발전 세미나’를 개최했다.

 

이번 행사는 5+2 광역경제발전위원회 공동연구인 ‘미래를 창조하는 지역간 상생협력과 공동발전 전략’의 일환으로 지역간 상생발전을 위해 광역경제권간 연계협력 및 공동발전 정책대안을 모색하기 위해 마련됐다.

 

‘미래를 창조하는 지역간 상생협력과 공동발전 전략’은 수도권광역경제발전위원회가 공동 연구를 제안했고 나머지 6개 광역경제발전위원회(이하 광역위)가 이에 동의해 시도됐다.

 

7개 광역경제발전위원회는 수도권·충청권·호남권·대경권·동남권·강원권·제주권 광역경제발전위원회를 말한다.

 

그동안의 연구는 각 광역경제권별로 혹은 중앙정부 중심으로 이뤄져 전국적으로 확산되기에는 한계가 있었다. 하지만 이번 연구는 지역 스스로가 주체가 돼 협력방안 및 발전전략 등을 도출하고 해법을 제시하는 데 의의가 있다.

 

특히 수도도권이 지역간 상생을 위해 먼저 나서 모든 광역위를 참여시키고 연구비 전액을 부담하는 한편, 지역별로 추천한 연구진들을 동등한 조건으로 참여시키는 등 새로운 시도를 한 점이 기존연구와 차별화 된다.

 

연구내용은 지역간 공동협력사업이라는 구체적 사업에 초점을 맞춰 진행중으로 실제 사업시행까지의 액션플랜을 만들어 광역위원회가 추진할 계획으로 광역위는 스스로의 역할 재정립에도 큰 역할을 할 것으로 기대했다.

 

수도권광역경제발전위원회의 김태복 사무총장은 “이번 공동연구를 계기로 모든 7개 광역위가 지역간 갈등관계를 극복하고 상생협력을 위한 기틀을 마련함과 동시에 지역협력사업에 대한 실행전략을 도출하게 될 것”이라며 “출범 4년차를 맞이하는 광역위의 기능과 역할 재정립을 위한 중요한 자리인 만큼 학계 및 연구원 등의 전문가들이 합심해 실행력이 담보될 수 있는 해법들이 논의되길 바란다”고 말했다.

 

7개 광역위 공동연구기간은 올해 8월부터 2013년 2월까지 6개월간이며 8월21일 착수보고회를 시작으로 이번 세미나에 이어 27일 중간보고회가, 내년 2월에는 최종보고회가 각각 개최된다.

목록
간행물
뉴스레터
포토영상
통계로 보는 내고장
 
 
청와대녹색성장위원회국가경쟁력강화위원회미래기획위원회국가건축정책위원회국토연구원한국농촌경제연구원한국지방행정연구원산업연구원공감코리아
 
  개인정보 보호정책 저작권 보호정책