YTN - 제7차 지역발전정책 보고대회 관련
정부는 4대 초광역벨트 사업에 이어 내륙 초광역 개발권역을 지정해 사실상 전 국토를 망라하는 개발 사업을 추진하기로 했습니다.
또 지방 10개 혁신도시로 이전하는 공공기관의 청사 30여 곳을 다음달부터 착공하고 혁신도시 내 기업, 학교 용지의 분양가를 추가 인하하기로 했습니다.
보도에 이승윤 기자입니다.
[리포트]
정부가 동해와 서해, 남해안, 남북 접경 지역에 이어 내륙을 집중 개발하는 「내륙 초광역 개발권」 권역을 지정했습니다.
먼저 기존의 4대 초광역 벨트에 이어 「내륙첨단산업벨트」를 만들어 IT와 바이오기술 기반의 신성장 산업을 육성하기로 했습니다.
이어 백두대간을 휴양, 생태, 체험 관광 지대로 개발하고, 대구와 광주의 R&D 특구를 연계해 의료 등 신성장 사업을 키울 예정입니다.
[녹취:최상철, 지역발전위원장]
「내륙의 개발과 해안권과 연계한 개발을 통해 2개의 내륙 초광역 개발권을 설정했습니다.」
정부는 다음달까지 권역을 확정해 올 하반기에 기본구상을 수립하고 올해 안에 종합계획을 마련할 예정입니다.
또 각 지역의 차별성과 정체성을 살린「창조지역」을 도입하고 우수 지방자치단체에 인센티브를 부여하기로 했습니다.
[녹취:이명박, 대통령]
「우리가 가장 중요한 지역 발전에 대한 초점은 있는 것을 나눠서 갖는 것도 중요하지만 그보다 지역이 차별화된 창조를 만들어야 한다. 그 지역에 맞는 일을 만들어야지...」
정부는 남해안 선벨트를 세계적인 물류 거점이자 관광 지대로 개발하기 위해 오는 2020년까지 24조 3,000억 원을 투입하기로 했습니다.
아울러 남해안의 해안선과 섬을 잇는 77번 국도를 점진적으로 확충해 목포와 부산을 2시간대 생활권으로 만들기로 했습니다.
또 지방 10개 혁신도시로 이전하는 157개 공공기관의 청사 30여 곳을 다음달부터 착공하고 나머지 이전 기관의 부지 매입과 청사 설계도 올해 안에 마무리하기로 했습니다.
아울러 지방 이전 기업에 대한 정부 지원 예산은 현재의 2배로 늘리고, 혁신도시 내 기업, 학교 유치를 확대하기 위해 「산학연 클러스터 용지」분양가를 16% 인하하기로 했습니다.
청와대는 이번에 발표한 내륙 초광역개발권 사업이 세종시 발전 방안과도 연계돼 있는 만큼 세종시 수정이 무산될 경우에는 차질을 빚을 수 밖에 없다고 설명했습니다.
YTN 이승윤[risungyoon@ytn.co.kr]입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