대통령기록관 홈페이지로 이동합니다
처음으로
 
  지역위소개   지역위 소식   정책안내   자료실   영문 페이지  
관련주요정책
부처별 주요정책자료입니다.
제목 새만금 개발 사업 첨부파일 첨부된 파일이 없습니다
작성일 2009-12-15
이전 글 기업도시
다음 글 게시물이 없습니다.

1.  사업개요

개발개요

  새만금 개발 사업은 군산~부안을 연결하는 세계 최장의 방조제 33Km를 축조하여 간척토지 28,300ha와 호소 11,800ha를 조성하고

  여기에, 경제와 산업, 관광을 아우르면서 동북아 경제중심지로 비상할 녹색성장과 청정생태환경의 “글로벌 명품 새만금”을 건설하는 국책사업임

새만금 군산~부안을 연결하는 세계 최장의 방조제

 

사업기간

 

사업비투자현황 (단위 : 억원)

구분 총사업비 2008까지 2009계획 누계 2009이후
66,828 23,286 (37%) 3,736 (6%) 28,820 (43%) 38,008 (57%)
외곽시설(계) 28,790 25,084 (87%) 3,236 (11%) 28,320 (98%) 470 (2%)
방조제 24,094 20,440 3,220 23,660 434
보상비 4,696 4,642 16 4,644 36
내부개발 38,038 - 500 500 (1%) 37,538 (99%)

 

 

지정학적 여건

새만금의 위치와 면적

새만금의 지정학적 의미

 

2. 비전 및 전략목표

비전 및 전략목표

글로벌 명품 '새만금

전략목표

3. 개발구상

새만금 개발 공간구조(안)

동북아 경제중심지로서의 글로벌 미션을 담당하고, 새만금이 보유한 강점과 제약요인을 감안하여 8가지 용지 설정

① 농업용지 ② 산업용지 ③ 관광·레저용지 ④ 국제업무용지 ⑤ 과학·연구용지 ⑥ 신·재생에너지용지 ⑦ 도시용지 ⑧ 생태·환경용지

8개 용지이외에 유보용지의 개념을 도입하여 개발여건 성숙 정도를 고려하여 적기개발을 도모할 수 있도록 함
- '08.10월 기본구상 변경(안) 취지에 따라 잠재적 용도를 지정하되 유보용지로 중복지정하는 방식으로 장래 수요에 탄력대응

- '08.10 기본구상 변경(안)의 용지별 비율과 위치의 기본 틀을 유지하되, 명품성과 경쟁력 확보 등을 감안하여 일부 조정

새만금 내부개발 공간배치 구상(안)

그간의 공간배치구상 변천

1991년 새만금사업 초기개발구상(안) : 농업식량생산기지 조성[ 100% 농수산중심 ]‘07.4.3 이용구상(안) 용지 = 7 : 3 ]08.10.21 변경(안) : 다기능 융복합기지 조성[ 농업용지 : 비농업용지 = 3 : 7 ]

토지이용계획도(안) 09년 7월23일

핵심전략지역(명품복합도시)

용지별 총면적과 개발면적

 

새만금사업단  홈페이지 - > http://www.isaemangeum.co.kr/

목록
간행물
뉴스레터
포토영상
통계로 보는 내고장
 
 
청와대녹색성장위원회국가경쟁력강화위원회미래기획위원회국가건축정책위원회국토연구원한국농촌경제연구원한국지방행정연구원산업연구원공감코리아
 
  개인정보 보호정책 저작권 보호정책